한글을 왜 배워야 해요?

한글을 왜 배워야 해요? 나랏 말미 귁에 달아 문와로 서르 디 아니 하고 싶은 말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 제 뜻을 펼칠 수 없었던 어린 백성들을 위하여 누구라도 쉽게 익혀 쓸 수 있는 한글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언어를 말살당할 위기도 여러 차례 겪었지만, 조상들의 희생과 지혜로 지켜온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 한글. 초·중·종성의 조합으로 무궁무진한 소리를 표기해낼 수 있기에 정보화 시대에 걸맞은 미래 언어라고도 평가받는 자랑스러운 한글이거늘 미국학교에 다니며 영어만 편애하는 내 아들에게 가르치는 일은 어찌 이리도 어려운지…. 나는 어머니에게 한글을 배웠다. 늦가을 혹은 겨울이었던 것 같다. 아마도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글자라도 가르쳐서 보내야겠다고 생각하셨던 모양이다. 낮에는 농사일, 집에 돌아오면 집안일과 식구들 식사 챙기는 일까지 모든 것을 해내느라 고단하셨을 어머니가 칸이 넓은 공책 한 권을 앞에 놓고 나에게 기역니은을 가르치셨다. 한글 자모를 다 외운 다음 써보고 싶은 말을 하나씩 글자로 적어보던 때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 ‘어머니’ ‘아버지’에 이어 ‘가방’ ‘나비’ 등의 말을 스스로 먼저 써보고 어머니랑 같이 써보고 하는 식인데 발음을 처음 글자로 직조해 낼 때 실제로 뇌 속에서 제각각으로 존재하던 자음과 모음이 어떤 논리를 가진 회로를 통해 조합, 재배열되는 감각을 경험했다. 짜릿했다. 어설프게나마 처음으로 느낀 배움의 희열이었던 것 같고, 속된 말로 ‘머리가 돌아가는 느낌’이 신선했다. 흥분에 겨워진 내가 어머니에게 “엄마, 엄마, ‘둑실이’ 써보자.” 했다. ‘둑실이’는 우리 집 개 이름이었다. 글을 깨쳐가는 자식을 보며 자신의 교수법에 뿌듯해하고 계셨을 어머니의 표정이 금세 난감해졌다. 그러고는 대신 ‘바둑이’를 써보자, 하셨다. 나는 ‘둑실이’를 쓰고 싶다고 졸랐지만 어머니는 끝내 내게 ‘바둑이’를 쓰게 하셨고 조금 전까지 들떠있던 나는 지루한 공부 시간에 붙잡힌 아이로 변해 시무룩이 ‘바둑이’를 따...